인기명산 100

2. 설악산국립공원 -1

행복의 샘터 2012. 11. 28. 09:29

 2. 설악산국립공원

1. 산행일 :

  1994.7.25(월)-30(6일).1996.7.28(일). 1997.10.19(일). 1998.7.26(일) 10.18(일). 2000.5.7(일). 10.21(토). 2001.7.22(일)-23(2일). 2001.10.5(금)-6(2일). 2002.8.14(수). 2003.8.13(수)-14(2일). 2003.10.4(토)-5(2일) 2004.9.25(토)-26(2일). 2005.7.25(월)-26(2일). 2008.8.19(화)-20(2일) 2009.9.27(일) 2015.10.18(토) 2016.5.28(토) 2016.6.25(토) 2016.10.14(토) 2017.10.14(토). 2018.10.20(토). 2018.10.21(일)

 

2. 높이 : 설악산(雪嶽山) 1,707.9m

 

3. 위치 : 강원 속초시, 양양군 서면, 인제군 북면. 고성군 

 

4. 특징/볼거리 :

웅장하고 신비한 남한 제일의 영산

 1981년 유네스코에서 생물권 보호지역으로 지정. 설악산은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4개의 시, 군에 걸쳐 있다. 한라산, 지리산에 이어 남한에서 3번째로 높은 설악산은 주봉인 대청봉(1,708m)을 비롯하여 700여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설악산은 외설악과 내설악으로 구분한다. 근래에는 오색지구를 추가하여 남설악을 덧붙이기도 한다. 한계령과 미시령을 경계선으로 동해쪽은 외설악, 서쪽은 내설악이라 한다. 외설악은 설악산에서 가장 높은 대청봉, 관모산, 천불동 계곡, 울산바위, 권금성, 금강굴, 비룡폭포, 토왕성폭포 등 기암절벽과 큰 폭포들이 있어 사람들의 발길이 잦다.

 내설악은 백담계곡, 수렴동계곡, 백운동계곡, 가야동계곡, 와룡, 유달, 쌍폭, 대승 등 폭포, 백담사, 봉정암 등의 사찰들이 있으며 계곡이 아름답고 산세가 빼어나다. 설악산은 봄의 철쭉 등 온갖 꽃, 여름의 맑고 깨끗한 계곡물, 설악제 기간을 전후한 가을 단풍, 눈덮인 겨울 설경 등 사계절이 절경을 이룬다. 가을이면 대청봉 단풍을 시작으로 전국의 산은 옷을 갈아입고 화려하게 치장한다. 대청 중청 소청봉을 필두로 화채봉 한계령 대승령 공룡능선이 그 다음으로 타오르다 용아장성 전불동계곡으로 내려온뒤 장수대와 옥녀탕까지 빠른 속도로 붉게 물들인다.

 이중 공룡능선은 산악인들이 설악단풍산행의 으뜸으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 곳. 외설악의 암릉미가 동해와 화채릉의 짙푸른 사면과 어우러진데다 서쪽의 용아장성과 기암도 장관이다.설악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풍은 화채능선과 한계령, 권금성 일대, 장수대 계곡, 수렴동 계곡.

설악산의 오색단풍 중 붉은 색은 단풍나무를 비롯 벚나무, 붉나무, 개박달, 박달나무 등이 만들어 내는 장관이다. 또 노란색은 물푸레나무, 피나무, 엄나무, 층층나무가, 주황색은 옻나무, 신갈나무,굴참나무, 떡갈나무 등이 엮어낸다. 여기에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최고의 절경을 만들어 낸다. 또한 설악산은 겨울에 아름다운 산이다. 그 중에서도 탕수동계곡에서 시작하여 대승령과 귀떼기청봉을 거쳐 대청봉에 이르는 서북릉은 설악의 진면목을 두루 감상할 수 있어 으뜸으로 꼽히는 능선길이다. 미시령에서 마등령과 공룡 능선을 거쳐 대청봉에 이르는 북릉 역시 서북릉 못지 않은 장쾌한 멋이 있다.

겨울의 설악산은 겨울산행과 겨울바다의 운치, 상쾌한 온천욕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1석3조의 명소로 꼽힌다, 인근에 낙산사, 하조대, 주전골 등 명승지가 많다.

 

인기순위 :

 인기명산 100 2위 (한국의 산하 1년간 접속통계에 의한 순위)

 기암괴석과 암봉, 수려한 계곡, 폭포 등이 많은 명산 국립공원 설악산은 사계절 찾을 만한 산행지이다. 9월 하순 대청봉에서 물들기 시작한 단풍이 내려와 천불동계곡에 절정을 이루는 10월 중순에 집중적으로 많이 찾는다. 단풍시즌에는 인산인해로 인하여 산행시 많은 시간이 지체됨.

 

산림청 선정 100 명산 선정사유

 남한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한계령, 마등령, 미시령 등 수많은 고개와 산줄기·계곡들이 어우러져 한국을 대표하는 산악미의 극치를 이루고 있으며, 국립공원(1970년 지정) 및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존지역으로 지정(1982년)되어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백담사(百潭寺), 봉정암(鳳頂菴), 신흥사(新興寺), 계조암(繼祖菴), 오세암(五歲庵), 흔들바위, 토왕성폭포, 대승폭포 등이 특히 유명.

 

5. 등산코스/산행일 :

 

1. 1994.7.25-30(6일) 단독산행.

첫째날 광양-서울-속초-설악동(1박)

둘째날 설악동-천불동-희운각-중청-대청봉-중청-희운각산장(1박)

셋째날 희운각산장-공룡능선-마등령-비선대-설악동(1박)

네째날 용대리-백담사-수렴동대피소-봉정암(1박)-

다섯째날 봉정암-용대리(원점회귀)-대포동횟집-설악동 민박(1박)

여섯째날 설악동-남교리-12선녀탕계곡(원점회귀)-서울-광양

2. 1996.7.28-30 설악동-천불동-희운각-중청산장(1박)(원점회귀) 단독산행

3. 1997.10.19 설악동-천불동계곡-무너미고개(원점회귀)석조, 석주, 우리부부

4. 1998.7.26 설악동-천불동계곡-대청봉(원점회귀) 부부산행

5. 1998.10.18 설악동-천불동계곡-무너미고개-공룡능선-마등령-금강굴-비선대-설악동(14h)석조부부. 우리부부

6. 2000.5.7 설악동-신흥사-울산바위(원점회귀)

7. 2000.10.21 용대리-백담사-구곡담계곡-봉정암(1박)-대청봉-설악폭포-오색

8. 2000.10.21/2001.10.5-6/2008.8.18-20 용대리-백담사-구곡담계곡-봉정암(1박)-대청봉-천불동-설악동

9. 2001.7.22-23 용대리-구곡담계곡-봉정암(1박)-대청봉-오색(13h)

10. 2001.10.5-10.6 용대리-수렴동(1박)-대청봉-천불동-설악동(16h)

11. 2002.8.14 장수대-대승폭포-대승령-12선녀탕계곡-남교리(8h)

12. 2003.8.13-14 설악동-비룡폭포 용대리(1박)/용대리-수렴동계곡-중청(1박)-대청봉-천불동-설악동 장남. 우리부부(370h 7h+9h)

13. 2003.10.4 설악동-천불동-희운각-소청-봉정암(1박)-휘운각-공룡능선-설악동 370k 16h(7h+9h) 우리부부

14. 2004.9.25 설악동-천불동계곡-소청-대청봉-중청산장(1박) 370km 7h/

          9.26 중청산장-희운각-신선봉-마등령-금강굴-설악동 (8h. 호성. 부부)

15. 2005.7.25 용대리-수렴동계곡-봉정암-소청산장(1박) 400k 6h. 7h

            7.26 소청산장-대청봉-회운각-천불동-설악동(호성, 영수, 부부 8h)

16. 2008.8.19(화) 설악동-천불동계곡-소청-대청봉-중청산장(1박) 370km 7h/

        20(2일) 중청산장-희운각-신선봉-공룡능선-마등령-금강굴-설악동 (8h)

17. 2009.9.27(일) 미시령-황철봉-마등령-공룡능선-희운각-소청-중청-한계령(20h) 백두대간24차구간

   18. 2015.10.18 (일) 소공원-신흥사-흔들바위. 계조암-울산바위(왕복산행. 원점)

   19. 2016.5.28(토) 한계령-서북능선-귀때기청-대승령-대승폭포-장수대(9h)

   20. 2016.6.25(토) 설악동-육담폭포-비룡폭포-토왕성폭포(4h)

   21. 2016.10.14(토) 오색약수-주전골-용소폭포-망경대-오색약수(4:30h)

   22. 2017.10.14(토) 비선대-귀면암-오련폭포-양폭대피소-양폭-천당폭포-왕복산행(6h)

   23. 2018.10.21(토) 신흥사-흔들바위-계조암-울산바위(4:20h)

   24. 2018.10.21(토) 권금성(케이블카 탑승-1h)

   25. 2018.10.22(일) 오색약수-성국사-독주암-선녀탕-금강굴-용소폭포(2:30h)

 

   6. 동행인 : 아내, 아들과 함께. 백두대간 구간은 포항셀파6차 백두대간종주대원

 

7. 교통안내 :

  *1990-1993년 버스, 택시 1994년 이후-자가용

    *포항-7번국도-65번 동해고속국도(동해-강릉-속초)-설악동(5h 370km)// 56번국도-미시령-용대리(5h 375km)

     *백두대간구간의 종주는 관광버스

     *포항-7번국도-65번 동해고속국도(근덕IC-동해-강릉JC-양양JC-북양양IC)-설악산로-설악동

       (3:30h 293km)

              

*포항-7번국도-65번 동해고속국도(근덕IC-동해-강릉JC-양양JC-속초IC)-미시령로-용대리           (3:50h 311km)

 

 

 

 

 

 

 

 

 

 

 

 

 

 

 

 

 

 

 

 

 

 

 

 

 

 

 

 

 

 

 

 

 

 

 

 

 

 

 

 

 

 

 

 

 

 

 

 

 

 

 

 

 

 

 

 

 

 

 

 

 

 

 

 

 

 

 

 

 

 

 

 

 

 

 

 

 

 

 

 

 

 

 

 

 

 

 

 

 

2002.8.14 십이선녀탕계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