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103 -5가야산 홍류동계곡 소리길
20181103 -5 가야산[伽倻山]국립공원-소리길
1. 일시 : 2018년 11월 3일(토) 맑음. 미세먼지 보통
2. 높이 : 상왕봉 1430m, 칠불봉 1432m
3. 위치 : 경남 합천군 가야면, 경북 성주군 수륜면/가천면
4. 특징/볼거리 :
◦가야산 19명소---가야산소리길 홍류동계곡의 16곳 중 제5경---15경까지 11곳(홍류동. 농산정. 취적봉. 자필암. 음풍뢰. 광풍뢰. 완재암. 분옥폭. 제월담. 낙화담. 첩석대) 탐방
◦17번째 가야산 산행
◦수달-천연기념물 330호로 홍류동계곡에 서식
◦볼거리-소리길 단풍. 농산정. 성철스님 사리탑. 자운대율사 사리탑. 김영환장군 팔만대장경 수호 공적비
◦가야산에 숨어있는 문화유산(국보):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32호). 해인사 장경판전(국보 52호). 해인사 고려목판(국보 206호)
◦제1경 멱도원(覓桃源): 가야산 속의 무릉도원을 상상하면서 그 승경을 찾기위해 멀리 가야산을 본다는 뜻
◦제2경 축화천(逐花川): 가야산 홍류동계곡 속에 흘러나오는 꽃잎을 따라 올라간다는 뜻
◦제3경 무릉교(武陵橋): 독서당에서 무릉교까지 거의 10일 정도의 길
◦제4경 칠성대(七星臺): 기도 중에 칠성이 떨어진 곳이라는 의미
◦제5경 홍류동(紅流洞): 수석과 산림이 가장 아름다운 계곡
◦제6경 농산정(籠山亭): 최치원 선생이 가야산에 은둔하여 수도하던 곳
◦제7경 취적봉(翠積峰): 선인이 내려와 피리를 불던 바위
◦제8경 자필암((泚筆巖): 바위에 붓을 간추려서 글을 기록한다
◦제9경 음풍뢰(吟風瀨): 풍월을 읊는 여울
◦제10경 광풍뢰(光風瀨): 선경의 풍경이 빛나는 여울
◦제11경 완재암(宛在巖): 선경이 펼쳐진 바위
◦제12경 분옥폭(噴玉瀑): 옥을 뿜듯이 쏟아지는 폭포
◦제13경 제월담(濟月潭): 달빛이 잠겨있는 연못
◦제14경 낙화담(落花潭): 꽃이 떨어지는 소(沼)
◦제15경 첩석대(疊石臺): 암석이 쌓여있는 대
◦제16경 회선대(會仙臺): 선인이 모여 있는 바위
◦제17경 학사대(學士臺): 최치원이 은거하여 詩書에 몰입하던 곳
학사대 전나무-천연기념물 제541호
◦제18경 봉천대(奉天臺): 가야산 중턱에서 기우제를 지내던 곳
◦제19경 우비정(牛鼻井): 가야산 꼭대기에 있는 샘
-인기명산 5위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5. 교통편: 포항-대구포항고속국도-광주대구고속국도-해인사IC-홍류동 주차장(141km. 2h)
6. 동행인 : 나와 아내
7. 등산코스/소요시간 : 3:50h(아주 천천히)
◦10:30 홍류동 옆 주차장
◦10:30 홍류동(소리길 19명소 중 제5경)
◦10:39 농산정(제6경)-국립공원 100景
◦10:51 취적봉(제7경). 음풍뢰(제9경). 광풍뢰(제10경)
◦10:53 분옥폭(제12경)
◦10:56 제월담(제13경)
◦11:11 길상암 입구
◦11:29 첩석대(제15경)
◦12:20-35 점심(주차장)
◦12:40 김영환장군 팔만대장경 수호 공적비
◦12:50 성철스님 사리탑. 자운대율사 사리탑
◦1:05 해인사 일주문(寺印海 山倻伽--->林叢印海)-국립공원 100景
◦2:10 농산정
◦2:20 주차장(원점)
농산정 주위
농산정 주위-2
농산정
길상암 입구
낙화담
자운대율사 사리탑
성철스님 사리탑-1
성철스님 사리탑-2
해인사 일주문-국립공원 100경
농산정-2
농산정-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