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계방산-1
68. 계방산-1
1. 산행일 : 2003.2.16(일)
2. 높이 : 계방산(桂芳山) 1,577m
3. 위치 : 강원도 홍천군 내면, 평창군 진부면
4. 특징/볼거리 :
4월까지 눈이 쌓여 봄 속의 겨울을 담을 수 있는 산
계방산은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남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이다. 산이 높고 크면서도 아담한 산세와 능선을 뒤덮은 산죽과 주목군락, 철쭉나무 군락, 계곡 가득히는 원시림이 들어 차 있다.
산세가 설악산 대청봉과 비슷하며, 최근 들어 이 일대가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환경이 잘 보호되어 있는 곳이다.
능선길 주변에는 참나무 일색으로 된 단풍으로 황홀하다. 정상까지 비적설기에는 3시간 이면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정상에 오르면 백두대간의 실한 등줄기를 한눈에 볼 수 있어 인근에서는 최고의 전망대로 손꼽힌다.
북쪽에 있는 홍천군 내면의 넓은 골짜기와 설악산, 점봉산이 가물거린다. 동쪽으로는 노인봉과 대관령, 서쪽으로는 운두령 너머로 회령봉과 태기산이 파노라마를 연출한다.
계방산에는 방아다리 약수라는 유명 약수터가 있다. 방아다리 약수터 부근의 주목군락과 능선 곳곳에 주목들이 자생하고 있다. 전나무 숲을 비롯한 원시림이 또한 볼 만하다.
산행은 운두령(해발1,089m)에서 시작하여 노동리 삼거리나 척천리 방아다리 약수로 하산하는 것이 대표적인 코스이다. 적설기에는 정상에서 노동리 삼거리로 하산하는 코스를 많이 이용한다.
오대산자락에 있는 계방산은 겨울이면 많은 눈이 내리는 곳 중 하나다. 바닷바람과 대륙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이 부딪치기 때문이다. 또 내린 눈은 매서운 바람과 낮은 기온으로 쉽게 녹지 않는다.
1시간30분 가량 오르면 1,492봉에 닿는다. 눈앞에 환상적인 설원이 펼쳐진다. 매서운 북서풍이 할퀴고 지나가는 능선의 나뭇가지에는 상고대나무나 풀에 눈같이 내린 서리)나 눈꽃이 눈부시다. 1,492봉에서 건너편 정상까지는 30여분 거리.
하산은 능선을 따라 노동리 아랫삼거리까지 내려가는 길과 윗삼거리를 거쳐 이승복 생가터로 내려가는 두 가지 코스가 있다.
겨울에는 계곡보다 능선쪽에 눈이 적게 쌓이기 때문에 계방산의 남쪽 능선을 타고 노동리로 하산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 해도 워낙 적설량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하산은 경험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ㅇ볼 만한 곳 : 방아다리 약수, 이승복 기념관
5. 인기순위 :
인기명산 100 68위 (한국의 산하 2년간 접속통계에 의한 순위)
오대산자락에 있는 계방산은 겨울이면 많은 눈이 내리며 내린 눈이 매서운 바람과 낮은 기온으로 쉽게 녹지 않는다. 태백산, 선자령, 백덕산과 함께 강원지역의 겨울 눈 산행의 대표적인 산이다. 1-2월 눈 테마산행으로 집중적으로 찾는다.
산림청 선정 100 명산 선정사유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서 산약초·야생화 등이 많이 서식하고, 희귀수목인 주목·철쭉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백두대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으며 겨울철 설경이 백미.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로 오를 수 있는 고개 중 가장 높은 운두령이 있으며 내린천(內麟川)으로 흐르는 계방천의 발원지임.
6. 등산코스/소요시간 :
∙2003.2.16 버스-운두령-1496봉-계방산-1462-이승복생가터-윗삼거리-계방산쉼터주차장(4h)
7. 동행인 : 아내와 함께
8. 교통안내 : 자가용. 포항-포항대구고속국도-도동분기점-금호분기점-중앙고속국도-영동고속국도-속사IC-31번국도-운두령(4h 380km)